유목민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중의 하나로 정보 마인드를 들 수 있다. 정착민은 외지인을 배척의 대상으로 여겼던 반면 험준한 산이 없는 초원지대에서 사는 유목민은 늘 외지인과 의사소통하길 원했으며, 칭기스칸 군대는 어떤 나라를 공격하기에 앞서 그 나라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, 파악하 여 첩보전과 심리전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었다.
이와 같이 어떤 조직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보화 마인드가 반드 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어떠한가? 앞서 언급한 유목민의 정보화 마인드를 우리 청년부 내에 적용시켜볼 수 있을 것이다. 첫째, 우리는 먼저 청년부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야 한다. 이는 사람이 대상인 직분을 그 대상에 대한 분석없이 제대로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 다. 둘째, 우리는 특히 새신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그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. 셋째, 청년부내에서 뿐만 아니라 교회 전체 내에서 정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 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. 넷째, 세상을 따라가는 교회가 되지 말아야 할 것은 분명하되, 그 시대의 문화와 흐름 에 대해 정보화 마인드로 무장하여야 한다. 그렇게 할 때 우리는 더욱 더 효율적으로 우리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. |